본문 바로가기

주식경제

5월 24일 미국 증시와 우리 증시 동향

우리 증시는 코스피, 코스닥 모두 소폭 상승으로 확 댕겨주는 시장하고는 거리가 아직은 멀어 보입니다. 미 증시도 상승하면서 그동안 하락폭이 커서 반발매수로 인한 상승으로 보아야 할 듯합니다.


세계 증시 동향과 이슈들

 

☞ 해외 글로벌 뉴스와 이슈들

 

미디어 주요 뉴스와 이슈들 참조와 설명
cnbc 美 4월 시카고 연은 전미활동지수 0.47---전월대비 개선 다소 긍정적
  IMF총재 "자산 뒷받침없는 스테이블코인, 피라미드 사기" 가상화페 지적의 목소리
  화이자 "5세 미만 코로나백신 효과 확인---FDA 긴급사용 요청 계획"  
  에어비앤비, 中내 주택공유사업 철수---비용 압박 우려 돈이 없어서 더 이상 진척이 안됨
wsj ECB, 9월까지 마이너스 금리 종료 시사  
  스타벅스, 15년 만에 러시아 완전 철수 지정학적 리스커에 의한 경제 제재
  말레이시아, 6월부터 닭고기 수출 중단 부정적
reuters WHO "유럽 · 미주 원숭이두창 억제 가능---변이 증거 없어" 더 이상 퍼지면 안되는 코로나
  이스라엘, 인플레 방어 위해 두 달 연속 금리 인상  
  "세계 경제 리더, 다보스 포럼서 경기 침체 경고" 주의경고하는 각국 리더들
  바이든 "대중 관세 일부 철폐 검토" 호재
m & w 모간스탠리 "美기업 수익악화---증시 5~10% 하락 예상" 부정적

 

♧ 오늘의 글로벌 빅 마우스

 


" 세계경제, 2차 대전 이후 가장 큰 시험대 직면 "   >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 유럽 경제, 경기침체 직면할 것 "   > 제임 프레이저 시티그룹 CEO

다보스 포럼 경제 전망 관련 발언

" 에너지, 식량, 기후, 인플레이션 등 4대 경제적 위기 직면 "   > 로베르트 하벡 독일 부총리

" 글로벌 식량 위기 發 경기 침체 우려 "   >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 인플레이션 완화에 따른 성장 감소 불가피 "   > 프랑수아 빌르루아 드갈로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

 

 

♧ 오늘의 미국 증시와 우리 증시(코스피, 코스닥 전일 종가 기준)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코스피 코스닥
31,880.24 3,973.75 11,535.28 2,647.38 883.59
▲ 618.34 ▲ 72.39 ▲ 180.66 ▲ 8.09 ▲ 3.71
1.98% 1.86% 1.59% 0.31% 0.42%

 

♧ 미국 국채금리와 국제유가 동향

 

2년 5년 10년 30년 서부텍사스유 브렌트유
2.63 2.88 2.86 3.07 110.29 113.42
▲ 0.044 ▲ 0.074 ▲ 0.077 ▲ 0.076 ▲ 0.26 ▲ 0.93
1.70% 2.64% 2.76% 2.54% 0.24% 0.83%

 

♧ 환율 (전일 기준)

 

가     격 전일 대비 등락률
USD/KRW     1,264.10 ▼ 4.00 0.32%

 

♧ 서학개미 상위종목 및 주요 특징주

 

서학개미 상위종목 상승 애플(4.04%), 게임스톱, 월트디즈니, 테슬라, AMD, 엔비디아, 
하락 브로드컴, 아마존닷컴, 갭, 콜스
주요 특징 종목 상승 JP모간(6.19%), 비자, 셰브론, 보잉, 스타벅스, 에어비엔비, 화이자, 바이오엔테크, 일라이릴리, 모더나
하락  

 

♧ 곡물 가격 및 철과 금속 가격 동향

 

곡물 가격 상승 옥수수, 밀, 코코아, 귀리, 돈육
하락 대두, 대두유, 커피, 설탕, 원목
철 및 금속 가격 상승 금, 은, 팔라듐, 백금, 아연, 납
하락 니켈, 구리, 주석, 알루미늄

 

♧ 월가 선정 향후 전망 좋은 기술주

 

종목명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서ㅣ스나우 워크데이 퀄리스
티커 MSFT GOOGL NOW WDAY QLYS

 

♧ 모건스탠리 선정 저점 매수 추천 종목

 

종목명 엑슨모빌 디어 코카콜라 CVS헬스 애보트 래보라토리
티커 XOM DE KO CVS ABT

 

♧  시티 선정 기피할 의류 소매업체

 

종목명 애버크롬비 & 피치 콜스 카터스 언더아머
티커 GPS ANF KSS CRI UA

 

♧ 미국 ETF 시황

상승 ETF 하락 ETF
천연가스 선물 신흥국 ESG 건화물선 Z 세대 관심 기업

오늘의 글로벌 증시 동향 파악 및 시장 흐름 정리

 

  • JP모간의 연간 순이자마진 상향 조정, 견고한 경제지표, 최근 하락 요인인 경기침체 완화 등으로 인해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 장 초반 하락세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중국발 규제 완화 검토 발표가 나오면서 상승으로 전환되었습니다.
  • 그러나 개별 이슈 종목 등 업종별, 종목별 차별화는 계속 나타나고 있으며, 오늘은 금융과 에너지 그리고 대형 기술주가 올라가면서 상승으로 장을 마무리하였습니다.
  • 국채 금리 장단기 역전 현상이 발생하면 은행들의 대출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기업들의 설비투자를 위축시키면서 고용 불안과 더불어 소비 감소로 이어져 경기침체를 야기시켜 왔으나, 오늘 JP모간이 투자자의 날을 맞아서 대출 증가 등을 이유로 순이자마진을 상향 조정하면서 경기침체가 완화되었습니다.
  • 전미 활동지수 개선(3월 0.35 → 4월 0.47)된 점도 상승 요인인데요, 여전히 플러스권에서 등락을 보이고 있어 경기침체 일부 완화에 도움을 주었다고 보입니다.
  • 이러한 상승은 이번 주 있을 FOMC 의사록 공개 및 MBDA(유럽의 미사일 제조 회사) 실적 발표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국가 활동 지수(Federal Reserve Bank [FED] of Chicago National Activity Index)는 미국의 전반적인 경제활동과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월별 평가를 제공합니다. 이 지수는 국가 경제의 개별 지표 85개를 조합한 가중 평균 복합 지수로 계산됩니다. 지표값의 범위는 +1 ~ -1이며 평균값은 0입니다. 경제학자들은 그 나라의 전반적인 경제 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지표를 사용합니다. 시카고 연방은 매달 지수 데이터를 업데이트합니다. CFNAI-MA3가 -0.7 이하이면 경기침체를 의미하고, -1.5 이하이면 매우 심각한 경기침체를 의미한다. 시카고 연준은 1967년부터 2001년까지 이 CFNAI-MA3의 경기침체 예측률이 86%에 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전미 활동지수, 국가활동지수, FED NAI, CFNAI 등으로 용어를 사용합니다.

 

다시 일어나는 증시의 힘, 감사합니다.